티스토리 뷰
저는 내일이 중복인걸 오늘에야 알았습니다. 마트를 가서 급히 삼계탕 재료를 사 오며 평소 잘 챙기지는 않던 초복 중복 말복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는 시간을 가졌습니다. 우리나라에는 무더운 여름철을 ‘삼복(三伏)’이라 하여 초복, 중복, 말복 세 시기로 나누어 더위를 이겨내기 위한 특별한 풍습이 전해져 오고 있습니다. 삼복은 음력으로 계산됩니다. 보통 양력 기준 7월 중순부터 8월 중순 사이에 해당합니다. 이 시기는 일 년 중 가장 더운 시기로, 옛 조상들은 음식과 생활습관을 통해 더위를 이겨내는 지혜를 이어왔습니다.
삼복의 유래와 역사적 배경
‘삼복(三伏)’이라는 말은 『황제내경(黃帝內經)』과 같은 고대 의학서에도 그 기록이 남아 있으며, 중국의 한나라 시절부터 유래되어 왔습니다. 삼복은 음양오행 사상과 관련되어 있는데, 가장 양기가 왕성한 시기에 인체의 음기가 약해지기 때문에 이를 보완해 주는 음식을 섭취하며 건강을 챙기고자 하는 전통이 발전한 것입니다. 요즘 같이 폭염이 지속될 때는 복날을 맞이하여 기력 보충 음식이 절로 생각나기도 합니다.
우리나라에서는 고려시대 이후 본격적으로 삼복에 대한 풍습이 자리 잡기 시작했으며, 특히 조선시대에는 복날에 백성들과 왕이 삼계탕과 같은 보양식을 나누는 풍습도 있었습니다.
초복(初伏) – 더위의 시작
얼마 전이 초복이었습니다. 초복은 삼복 중 첫 번째로, 여름철 본격적인 무더위가 시작되는 시점입니다. 양력 기준으로는 보통 7월 초중순경에 해당하며, 24 절기 중 하지(夏至) 이후 셋째 경일(庚日)을 기준으로 계산됩니다.
이 시기에는 본격적인 더위를 대비해 체력을 보강하고 땀을 적절히 배출해 주는 것이 중요합니다. 많은 사람들은 초복에 삼계탕, 백숙, 보신탕, 장어구이 등 보양식을 챙겨 먹으며 체력 유지에 힘씁니다. 우리집은 평상시에도 장어요리를 애어른 할 것 없이 즐기는 요리기도 합니다.
중복(中伏) – 가장 더운 시기
앞서 말씀 드렸듯, 드디어 내일이 중복입니다. 중복은 삼복 중 두 번째 시기로, 한여름 더위가 절정에 달하는 시기입니다. 초복으로부터 약 10일 후 찾아오며, 이때는 고온다습한 날씨로 인해 체력이 급격히 떨어질 수 있어 건강관리에 더욱 주의가 필요합니다.
중복에는 초복과 마찬가지로 보양식을 먹는 문화가 지속되며, 특히 시원한 국물 음식과 수분 섭취가 강조됩니다. 냉면, 콩국수, 수박, 오이냉국 등의 음식도 함께 즐겨 찾는 시기입니다.
말복(末伏) – 여름의 끝자락
말복은 삼복 중 마지막 시기로, 중복이 지난 후 세 번째 경일에 해당합니다. 복날 중 마지막날이기에 오래전엔 즐겨 챙겼던 걸로 기억합니다. 양력 기준으로는 8월 초중순경이며, 삼복더위가 끝나는 시점으로 인식됩니다. 이때는 더위는 여전히 강하지만, 조금씩 가을의 기운이 시작되는 시기이기도 합니다. 다만 가을의 기운만이 있는 정도입니다. 체감은 9월까지도 복날처럼 덥습니다. 기후가 점점 변화되어 가는 것이지요.
말복에는 ‘여름을 잘 견뎌냈다’는 의미로 마지막 보양식을 챙기는 문화가 이어지며, 장어탕이나 삼계탕을 먹고 가을을 준비하는 마음가짐을 갖습니다. 저는 말복인 이날도 삼계탕을 먹을 예정입니다.
삼복과 관련된 주요 풍습
1. 냉 음식 즐기기
삼복에는 더위를 해소하기 위한 냉 음식도 많이 먹습니다. 전통적으로는 식혜, 냉면, 콩국수, 냉국 등이 사랑받았으며, 현대에는 빙수나 아이스크림과 같은 디저트류도 인기입니다. 콩국수는 저의 최애 음식이기도 합니다.
2. 복달임 음식
복날에 몸보신을 위한 음식을 먹는 것을 ‘복달임’이라고 합니다. 이는 더위로 인해 떨어진 기력을 보충하고 면역력 강화를 도모하는 목적이 있습니다. 주요 복달임 음식으로는 삼계탕, 추어탕, 장어, 소고기무국, 흑염소탕 등이 있습니다.
3. 개장국(보신탕) 문화
개인적으로는 물에 빠진 조류등과 장어등을 좋아합니다. 과거에는 개고기를 이용한 보신탕도 흔하게 소비되었으나, 최근에는 윤리적 문제와 식문화 변화로 인해 점점 자취를 감추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장어, 오리, 닭 등 대체 보양식에 대한 관심이 더욱 높아지고 있습니다.
현대 삼복문화의 변화
과거 삼복은 농경사회에서 더위로부터 생계를 지키기 위한 문화적 지혜로 자리 잡은 반면, 현대에는 건강과 웰빙을 중시하는 문화로 재해석되고 있습니다. 특히 웰빙 음식, 친환경 식재료, 유기농 보양식 등 새로운 트렌드가 생겨나고 있으며, 직장인들 사이에서는 삼복 시즌에 맞춘 단체 삼계탕 회식 문화도 볼 수 있습니다. 오래전부터 반찬을 즐겨 사 먹는 집이 있습니다만, 이런 곳에서도 시즌마다 그에 맞는 요리들을 출시하고 있습니다. 덕분에 저도 오랜 기간 동안 복날을 챙겨보기도 했었습니다. 삼복이 있는 7~8월은 휴가철과도 겹치기 때문에, 여름 보양 여행상품이나 지역 축제와 연계된 이벤트도 자주 열기도 합니다.